본문 바로가기

정보

2023 장마기간 (끝나는 시기)

 

2023 장마기기간 및 끝나는 시기 알려드리겠습니다. 13일 기준으로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었는데요, 일기예보에 따르면 7월 한 달 간은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3 장마기간과 더불어 장마 끝나는 시기, 집중호우 대피법과 침수우려 지역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침수 우려 지역 확인

 

집중호우 대처법 확인

 

장마철 아이와 가기 좋은 곳

 

 

장마 전체전선은 20일까지 우리나라에 머물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하지만 기상청은 21일 이후에도 정체전선이 한반도 주변에 머물 가능성이 적지 않은 상황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즉, 20일 이후에도 장맛비가 계속 될 수 있다고 보고있죠.

 

2023 장마기간 (끝나는 시기)

 

 

2023년 장마는 6월 25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장마 정체전선이 20일까지 머물것으로 보고 있지만 최근 여름 강수 양상은 예측어 어려워지고 있는 만큼 20일 이후에도 계속 장마가 될 수 있다고 기상청은 발표했습니다. 

 

장마가 시작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국 평균 강수량은 316.8mm에 달하는데요, 이는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달인 7월 평년 강수량이 288.5mm인데 최근 187일 사이 이를 훌쩍 넘는 비가 내렸습니다. 이 통계로 보면 올해는 정말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15일까지 충남과 전북에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고 있으며, 많이 내리는 곳은 강수량이 400mm 이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현재 14일 기준 전북 군산에는 364mm의 폭우가 쏟아졌으며 1968년 관측이 시작된 이례에 하룻동안 이렇게 많은 비가 내린 것은 처음입니다. 

 

경북지방은 최대 300mm 이사, 전남에는 최대 200mm 이상 비를 전망하고 있으며, 중부지방의 강수량은 100 ~ 250mm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라도에 폭우가 쏟아지고 있는데요, 이 이유는 옛날부터 남하하는 장마 정체전선이 굉장히 위험하도고 하는데요, 현재 장마전선이 남쪽과 북쪽의 공기가 충돌하는 지점에 있습니다. 북쪽에서는 건조한 공기가 내려오고 있고 남쪽에는 습윤한 공기가 있습니다. 습윤한 공기는 가벼운 것이 특징인데요, 지금 장마전선이 남하하고 있기에 건조한 공기가 습윤한 공기를 파고 들게 되어 습한 공기가 급격하게 수직 상승하여 폭우가 내리는 비구름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15일, 16일 주말 동안 충청, 전라도, 경북 지방은 300 ~ 400mm의 많은 비가 예상 될 예정이니 이 지역에 계신 분들은 기상정보에 귀를 기울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상청은 공식적으로 장마 시종일을 1009년 이후로 예보하지 않고 있는데요, 이 이유는 최근의 여름 강수 양상은 전보다 예측이 더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지난해는 장마 기간보다 장맛비가 내린 지역의 강수량 차이가 크다는 점이 주목해야 할 특이점입니다. 

 

올여름의 강수에 있어서 제1변수로 엘니뇨를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엘니뇨는 해수면 온도가 3개월 이동평균으로 평년보다 0.5도 높은 상황이 5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기상청은 6월과 8월은 평년 강수량과 비슷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7월 강수량은 엘니뇨 현상으로 평년보다 많은 비가 올거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올해 장마는 지역에 따라 강수 강도와 강수량의 차이가 클 전망으로 보이니 최신 기상정보와 레이더 영상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집중호우 대처방법

 

 

1. 계단이 침수될 시

신속히 상황을 파악한 뒤 119에 신고하고 수심이 무릎 이하일 경우 재빨리 탈출해야합니다. 슬리퍼, 하이힐 등의 경우 신발을 벗고 맨발로 탈출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2. 집이나 건물 안이 침수될 시

가장 먼저 전기 전원을 차단하고 수위가 30cm 이하(종아리 아래)일 시 신속히 문을 열고 탈출해야합니다.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다면 신속히 119에 신고를 한 뒤 주변 사람들과 힘을 합쳐 대피하셔야합니다.

 

3. 외부 활동 중 하천이 범람할 시

필히 안전지대에서 야영하고 대피 방송이 나오면 신속히 대피하셔야합니다. 유속이 빠르고 물이 무릎까지 찰 경우 이동하지 마시고, 119 신고 등을 통해 안전 확보 후 이동하셔야합니다.

 

 

4. 침수된 도로는 우회

도로의 맨홀이 이탈하거나 솟아오르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니 맨홀을 피해 안전운행을 해야합니다. 밤에는 운전을 자제하고, 도로 경사로 유속이 빠른 곳은 절대 피하셔야합니다.

 

5. 차량 침수 우려가 있다면

승용차 기준 타이어 높이의 2/3 이상이 잠기기 전에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셔야합니다. 창문이 열리지 않을 경우 차량 문을 힘껏 밀면 열 수 있으니 탈출하고 대피하세요.

 

6. 차량이 침수됐다면?

내부, 외부 수압 차이로 차량 문이 열리지 않는 것에 비해 창문을 미리 열어두셔야합니다. 미리 창문을 열지 못했다면 차량 내외부 수위 차이가 30cm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신속하게 탈출하세요.

 

7. 침수된 교량에서 대처방법

급류가 발생하여 교량이 잠겨있는 경우 하천으로는 절대 진입하면 안 됩니다. 하천에서 급류 발생 시 얕은 수심에서도 차량이 쉽게 휩쓸리므로 절대 진입하시면 안 됩니다.

 

8. 불가피한 상황에서 급류 하천에 진입했다면

반대쪽 문이 열리지 않거나 내릴 수 없는 경우 단단한 물체로 유리창을 깨트리세요. 창문의 중앙 부분보다 모서리 부분을 힘껏 치거나 발로 깨뜨리세요. 급류 흐름 반대쪽의 문을 열어 신속하게 탈출하시면 됩니다.